USB 3.0이 지원되는 하드디스크 케이스를 구매하였습니다. 기존에 사용하던 PC의 하드디스크를 보관하기 위해서 구매하였는데 기존 PC는 현재 사용중이지 않아서 외장하드처럼 사용하고 있습니다. 외장 하드디스크를 수납하면서 컨트롤러만 연결하면 바로 이용할 수 있는 EZ SATA 제품을 구입하였습니다. 라벨도 들어있고, 케이스 2개 3.5인치 SATA 하드디스크와 USB 3.0을 지원합니다. EZ SATA 구성품 외장하드를 보관할 수 있는 케이스 2개와 USB 3.0용 케이블 1개, SATA 지원 컨트롤러 1개, 전원 어댑터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외장 하드 케이스는 2개이고, 컨트롤러는 1개라서 하드 카피를 하는 행동은 당장은 불가능하더군요. 케이스 2개는 쌓아둘 수 있도록 4곳에 작은 홈과 고정핀으로 구성..
도시바 SSD 512GB를 구입하였습니다. 노트북에 설치되어있는 1TB가 있기는 하지만 1TB만큼 다 사용하지도 않을것 같고, 하드디스크 긁는 소리가 너무 커서 조용한 SSD로 변경하려고 구입하였습니다. 현재 500GB 정도의 SSD는 40~60대의 가격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2년 전에 250GB 정도의 SSD가격이 30~50정도였으니 용량이 2배 늘어나고 가격은 비슷해졌습니다. 기간은 참 오래걸리네요. 도시바 SSD 도시바 SSD의 장점은 저전력이라고 합니다. 타사 제품들이 100mW 이상인 반면 도시바 Q Series Pro는 90mW라고 합니다. 스펙은 간략하게 아래와 같다고합니다. SATA3(6Gb/s) 지원, 읽기 최대 554MB/s, 쓰기 최대 512MB/s, MLC(토글)방식, 7mm의 두께..
mSATA RAID 구성이 끝나고 윈도우 설치를 진행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MSI GE40의 하드디스크 2개를 사용하여 윈도우를 설치할 경우 주의해야할 부분과 윈도우 8.1을 설치할때 지원되는 항목등을 살펴보겠습니다. MSI GE40-i7 Splinter Edition에 mSATA 2개로 RAID 구성하기 : http://thdev.net/531 UEFI 설정 내용 참고 : 위키 백과 - UEFI 우선 UEFI는 한국말로 "통일 확장 펌웨어 인터페이스"라고 하는 Unified Extensible Firmware Interface의 약자입니다. 운영체제외 플랫폼 펌웨어 사이의 소프트웨어 인터페이스를 정의하는 규격으로 IBM PC 호환기종에 사용되는 바이오스 인터페이스를 대체할 목적으로 개발되었다고..
지난번에 구매했던 노트북의 SSD 128GB가 부족하여 추가로 128GB를 구매하여 설치하였습니다. RAID 0로 설정하고 윈도우 8.1을 설치하였습니다. 설치하는 방법과 성능 정보를 간단하게 살펴보려고 합니다. 제가 기존에 노트북을 구매하면서 무료로 제공받은 SSD 128GB는 도시바의 제품이였습니다. 동일한 도시바 mini SATA(mSATA)를 구입하여 RAID 구성을 하였습니다. 제 노트북에는 mSATA가 장착 가능한 SUPER Raid 킷이 장착되어 있습니다. 단일 SSD로 교체도 가능하지만 mSATA를 하나 더 구입하여 적용해보았습니다. MSI G40-i7 Splinter Edition 간단 개봉 및 사양은? : http://thdev.net/514MSI GE40의 UEFI 모드에 윈도우 8...
노트북 쿨러를 하나 구입하였습니다. 잘만 ZM-NS2000으로 최대 17인치 노트북까지 올라가는 제품입니다. 200mm의 쿨링팬 1개와 USB 3개, 4단계 높이 조절이 가능한 제품입니다. 간단한 제품 소개 및 안드로이드 소음 측정 어플로 소음을 간단히 체크해보았습니다. ZM-NS2000은 현재 10000개 판매 기념으로 잘만에서 제작한 유선 마우스를 함께 제공하고 있습니다. 무선 마우스를 사용중이라서 유선을 사용할 일은 없어보입니다.^^; ZM-NS2000 잘만은 쿨링 시스템에서 유명한 회사입니다. 노트북용 쿨러도 판매되고 있는데 제가 구입한 제품은 ZM-NS2000 입니다. 사진과 같이 크지도 작지도 않은 크기를 가지고 있습니다. 17인치 노트북을 사용은 가능은 한데 17인치를 올려두면 아래가 꽉차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