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에는 3G 핸드폰을 개통하면서 SIM 카드라는 것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현재에는 거의 모든 폰에 이 유심이 기본적으로 들어가있고, 유심 뽑아 다른 폰에서 언제든지 사용이 가능한 세상이 되었습니다. SIM(유심) 카드는 가입자 식별 모듈(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을 구현한 IC 카드를 말합니다. IC 카드는 카드에서도 흔히 볼 수 있듯 현재는 엄청나게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 SIM 카드는 핸드폰 구매할 경우 함께 구매하여, 후불 청구 방식으로 제공되고 있습니다. 심 카드의 종류만 해도 각 통신사별로 최대 3가지 종류가 판매되고 있으며, 현재는 대부분 1~2가지 종류의 유심칩이 제공됩니다. 이 유심카드 얼마나 잘 알고서 함께 구매하고 있으신지 모르고, 정말 이 유심이 내..
Play store의 앱이 설치되는 방법과 자동업데이트에 대해서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Play store의 앱 설치는 iOS와는 다르게 여러개를 한번에 설치하는 형태가 아니고, 여러개가 한번에 설치된다고 아시는 분들이 있으신것 같아서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사실 앱이 어떻게 설치되는지는 별로 중요하지 않습니다. Wi-Fi를 이용해서 앱이 자동으로 업데이트 되는지, 3G와 LTE 데이터를 이용해서 자동으로 업데이트 되는지가 더 중요한 사항일것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Play store의 앱이 어떻게 설치되는지와 iOS에서 설치되는 방법과 간단하게 비교해보겠습니다. iOS의 앱 설치 vs 안드로이드 앱 설치 iOS : 동시에 최대 3개의 앱이 다운로드 받아지고, 설치가 이루어집니다. Android : 예전에는 ..
안드로이드 폰을 사용하시면 "알 수 없는 프로그램" 허용을 자주하게 됩니다. 이 옵션을 항상 허용해두는건 위험한 행동입니다. 스팸문자를 받고, 링크로 된 프로그램을 다운받아 나도 모르게 설치가 되거나, 그냥 apk라서 눌렀다가 설치하는 경우가 생길 수 있습니다. 상당히 위험한 행동입니다. 예전에는 국내 금융 어플들을 이런식으로 모아서 설치하도록 만든다면서 했던 행동들이 있었습니다. 자기들이 검수를 해서 안전하다고는 하나 저런식의 앱 설치 방법은 좋은 방법이 아닙니다. 사용자 역시 주의하여야 하는 부분인데 너무 안일하게 대응하는것 같아서 이렇게 글을 적어봅니다. 보안보안하지만 실제로 이렇게 체크 되어 있는지 안되어 있는지 직접 확인하는 경우가 있는지 궁금하지만! 최대한 옵션을 비활성화 해두고 사용하시기 바..
안드로이드 폰의 특정 폴더를 동기화 할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Dropbox에 해당 폴더를 업로드 하는 방법이 있을 태고, 그외 다른 클라우드에서 지원하는 방법이 있을것 같습니다. 폴더 자체를 동기화를 지원해주는 Dropbox를 이용한 앱들이 여러개 존재합니다. AIDE(안드로이드 앱을 안드로이드에서 개발할 수 있는 도구)에서 처음 사용했었는데. 개발 폴더 자체를 동기화 하는 방법이였습니다. 그래서 이번 리뷰는 Dropsync라는 프로그램을 소개합니다. Dropbox에 실시간(시간에 따라서) 동기화 하는 어플입니다. Dropsync 다운로드 Dropsync는 무료 버전과 유료버전 2가지가 존재합니다. 차이점은 업로드/다운로드의 데이터 크기가 정해져있습니다. 유료버전은 제한이 없이 업/다운로드가 가능하지..
제가 최근에 주로 사용하던 택배조회 앱이 있었습니다. 기본에 충실해서 정말 좋았던 택배 조회앱과 광고 앱인가 택배 조회 앱인가 아이러니했던 스마트 택배입니다. 오늘 검색해보니 2개 앱 모두 마켓에서 블락되어버렸네요. 2개 앱 모두 살펴보려고 합니다. 마켓에는 "택배 조회(SMS 문자 수신 불가능)" 앱만 올라와 있고, "택배 조회", "스마트 택배" 는 현재 블락되었습니다. 광고 정책 문제로 인해 블락된것 같습니다. 택배 조회 앱에 무슨 일이? 유사해도 너무 유사한 이 앱.. 1월 업데이트 이후 "택배 조회" 앱이 변했습니다. "스마트 택배" 라는 어플이 있는데 이놈과 똑같아도 너무 똑같아 졌습니다. 원래 택배 조회 이 앱은 가장 기본적인 일만 했습니다. 배송 정보가 업데이트 되면 Push만 해주었고, ..